📌 은 투자 방법 비교표
투자 방법
|
개요
|
장점
|
단점
|
수수료 및 세금
|
실물 은
(Silver Bullion, Coins, Bars)
|
은을 직접 매입하여 보관
|
- 실물 자산 보유
- 인플레이션 헤지 가능
|
- 보관 및 관리 비용 발생
- 거래 유동성이 낮음
|
- 매매 시 부가가치세 10% 부과
- 매도 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없음
|
은행 실버뱅킹 (실버통장)
|
은 실물을 보유하지 않고 가격 변동에 따라 거래하는 계좌
|
- 소액 투자 가능(0.01g 단위)
- 실물 보관 필요 없음
|
- 거래 수수료 높음
(매매 수수료 약 3.5%)
|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 매도 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 부과
|
은 ETF
(SLV, SIVR 등)
|
은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
|
- 실물 보관 필요 없음
- 주식시장과 동일하게 거래 가능
|
- 운용 수수료 발생
- 실물 은 가격을 추종하지만, 1:1 대응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음
|
- 운용 수수료 (연 0.2~0.5%)
- 매도 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부과(국내 ETF 15.4%, 해외 ETF 250만원 초과 시 22%)
|
은 관련 주식
(광산 기업, 생산업체 등)
|
은을 생산하거나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주식 투자
|
- 실물 은보다 높은 성장 가능성
- 배당 수익 가능
|
- 기업 리스크 존재
- 은 가격과 반드시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음
|
- 일반 주식과 동일하게 증권 거래세 및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발생
|
은 선물
(Silver Futures)
|
일정 시점에 은을 정해진 가격에 사고파는 계약
|
- 레버리지를 활용한 높은 수익 가능
-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
|
- 고위험 (변동성 매우 높음)
- 만기일 관리 필요
|
- 거래소 수수료 및 증거금 요구
- 양도소득세 (국내 기준 11%)
|
은 CFD (Contract for Difference)
|
은 가격 변동에 따라 차익을 얻는 파생상품
|
- 소액으로 투자 가능
- 공매도 가능
|
- 높은 스프레드 및 수수료
- 레버리지로 인한 높은 손실 가능성
|
- 스프레드 비용 (브로커별 상이)
|
- 실물 은 매입 : 한국금거래소 등을 통해 실버바, 은화를 구매
- 은 통장 개설 : 신한은행 등 은행에서 실버뱅킹 개설 가능
- 은 ETF 투자 : 은 가격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SLV 등), 은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추구
- 은 관련주 투자 : 은 채굴 또는 관련 사업하는 기업 주식에 투자(퍼스트마제스틱실버, 팬아메리칸실버, 휘턴프레셔스메탈스 등)
- 은 선물, 은 CFD : 은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손실이 발생하는 파생상품
금과 마찬가지로 은 투자에도 다양한 수단이 있다. 각자 투자 성향 및 목적에 따라 수단을 선택하면 되는데, 개인적으로 2, 5번은 비추천한다. 2번 실버뱅킹의 경우 0.01g 단위로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거래 수수료가 너무 비싸다. 적립식으로 은 투자를 한다면 매매 시마다 3.5%의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운용보수와 거래비용을 감안하더라도 ETF 투자가 더욱 효율적인 방안이다. 5번 은 선물, 은 CFD의 경우 은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방법인데 레버리지 및 변동성을 감안할 때 매우 리스크가 높다. 특히 투자 초보자들의 경우 상품의 구조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원금 손실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추천한다.(CFD는 라덕연과 키움증권, 영풍제지 사태와 관련 있는 상품 구조이다.)
금 투자 수단 비교를 원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금융,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가장 큰 ETF는? 미국 ETF 운용규모 순위 (3) | 2025.03.06 |
---|---|
시장 변동성을 알 수 있는 공포 지수, VIX (2) | 2025.03.05 |
AI 시장을 주도하는 OpenAI,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 (0) | 2025.02.19 |
ISA, 연금저축, IRP 계좌를 활용한 투자 및 절세 (1) | 2025.02.12 |
[이슈] 코스피 지수와 PBR (6)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