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F명 : ProShares Bitcoin Strategy ETF
* 티커(Ticker) : BITO
* 시가총액 : $2.3Bil, 약 3.3조원
* 주가(NAV) : $22.28 (25/2/7 기준)
* 거래량 : 11,142,470주 (25/2/7 기준)
* 총 보수(연) : 0.95%
* 투자 전략 : 비트코인 선물 계약 투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트코인 투자 수익을 추구(현물 보유X)
* 특이사항
- 미국 최초의 비트코인 선물 ETF
- 국내에서 투자 가능한 비트코인 ETF(국내 투자자의 경우 현행법상 비트코인 현물 ETF 투자 불가능. 암호화폐 지갑, 코인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 ETF에 투자 가능)
- 높은 월배당 수익률(매월 4-5% 수준, 연배당으로 환산 시 50-60% 수준에 달함, 매월 빠짐없이 지급하는건 아님)
Cf) 국내 가상자산 규제
- 국내의 경우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및 가상화폐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펀드 출시 불허 → 비트코인 현물 ETF 직접 투자 불가
-> 현행 자본시장법상 ETF의 기초자산은 금융투자상품. 비트코인은 증권이 아니라 가상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금융상품으로 인정되지 않고, ETF 기초자산이 될 수 없음
->2017년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가상통화 긴급대책’에서 정부가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보유, 매입, 지분투자를 금지함
-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운용사들이 가상화폐 및 관련 기업 ETF, 펀드를 출시하는 것과 반대 흐름. 미국에서는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 주식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도 있고, 가상자산 현물, 선물 ETF 및 옵션 거래도 가능
- 국내 투자자의 경우 해외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하려면 해외 증권사(미국 브로커리지) 계좌를 개설 해야함
*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
-BITO는 비트코인 선물 계약에 투자하기 때문에 보유 종목이 단순
* 비트코인 투자 수단에 대한 생각
- 비트코인을 투자하기 위해서는 1) 코인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매수 2) 가상화폐 채굴 기업 및 관련주 투자 3) 비트코인 선물 직접 투자 4) 비트코인 선물 ETF 매수 등의 방법이 있다. 1)의 경우 업비트(국내), 바이낸스(해외) 등 계좌를 개설하여 진행 가능한데, 거래소에 대한 불신(해킹, 폐쇄, 보안 이슈) 및 김치 프리미엄(국내 거래소에서 코인 가격이 해외 거래소 대비 높게 형성) 등의 패널티로 선호하지 않는다. 2)의 경우 각 주식의 실적과 이슈(CEO 리스크 등)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기 때문에 오롯이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물론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처럼 비트코인 비축하는 기업은 예외이다. 3)의 경우 개인이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시시각각 선물 변동을 대응하기 쉽지 않을 것 같고, 선물은 기본적으로 증거금을 이용한 레버리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모 아니면 도의 투기적 성격이 강해 위험하다.
- 위에 나열한 이유들 때문에 비트코인에 대한 익스포저를 가져간다면 BITO ETF가 제일 좋은 선택지라고 생각한다.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법적인 테두리 안에 들어가 있고, 다른 ETF들과 마찬가지로 간편하게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BITO 투자 시에도 해외 ETF 양도차익 250만원 비과세가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국내 거래소에서 가상화폐 과세가 도입되더라도 세금을 내지 않고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생각이 든다.
-BITO의 단점은 1) 비트코인 선물을 투자하다보니 현물 ETF보다 좀 더 투기적이고 수익률 변동성이 높다. 2) 비트코인 선물 롤오버 시 비용 발생(선물 계약 만료에 따라 롤오버 시 현물 가격보다 선물 가격이 높은 콘탱고 상황이 자주 발생) 3) 1)과 2)의 영향으로 장기 투자 시 비트코인과 수익률 괴리가 발생한다는 점들이다. 그럼에도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 미국 상장된 비트코인 ETF를 투자하고 싶다면, 지금으로서는 BITO가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 비트코인 투자 수익을 간접적으로 누리면서 높은 월배당 수익을 얻고 싶다면 BITO ETF 투자가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