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투자/기업

[미국기업 소개 #4] MSTR (MicroStrategy,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스트레티지),비트코인에 미친 회사

lojoolodo 2025. 3. 4. 23:01

* MSTR 기업 개요

- 기업명: MicroStrategy Incorporated(원래 기업명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인데 얼마 전에 스트레티지로 변경)

- 티커(Ticker): MSTR

- 주가: $250.92 (2025/3/3 기준)

- 시가총액: $65.31B (약 95조원)

* 주요 사업

1. 비트코인 투자

-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 비즈니스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탈중앙화 거래,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 등)으로 비트코인 매수 및 보유

- 2020년 9월 비트코인 비축 결정, 2021년 1분기부터 자금 조달하여 비트코인 투자

- 투자 방법 (1) 자본시장에서 주식, 채권을 비롯한 다양한 증권을 발행하여 자금 조달하여 비트코인에 투자 (2) 유동자산을 활용하여 비트코인에 투자

▶사실상 있는 돈 없는 돈 다 끌어서 비트코인에 올인하는 회사, 아래 표에서도 나오지만 회사 자산의 90% 이상이 비트코인이다.

2. BI(Business Intelligence)

- AI 기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제공

- 제품 라이선스를 비롯하여 클라우드 서비스(Strategy One)도 제공

* 자산 비중

항목
2024년 12월 31일
비중(%)
2023년 12월 31일
비중(%)
현금성 자산
$38.1M
0.2%
$46.8M
1.0%
현금성 자산 외 유동자산
$214.2M
0.8%
$221.1M
4.6%
유동 자산 합계
$252.3M
1.0%
$267.9M
5.6%
디지털 자산
$23.9B
92.5%
$3.6B
76.2%
부동산 및 장비
$26.3M
0.1%
$28.9M
0.6%
사용권 자산
$54.6M
0.2%
$57.3M
1.2%
금융자산
$75.8M
0.3%
$24.3M
0.5%
순이연 세금 자산
$1.5B
5.9%
$757.6M
15.9%
자산 합계
$25.8B
100.0%
$4.8B
100.0%

- 앞서 언급했듯이, 이 회사는 재무제표 상 자산의 92.5%가 비트코인이다. 2023년 말 기준 비트코인은 전체 자산의 76.2%였으나, 2024년 한 해동안 약 26만개의 비트코인을 매수하면서 디지털 자산의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현금성 자산 및 기타 자산들의 비중 자체가 미미하다. 현금성 자산의 비중이 0.2%라니, 이 돈을 모두 코인을 사는데 투자한 것이 틀림없다. 정말 말 그대로 비트코인에 미친 회사이다.

* 수익 현황

항목
2024
2023
수익
제품 라이센스
$48.6M
$75.4M
구독 서비스
$106.8M
$81.2M
총 제품 라이선스 및 구독 서비스
$155.3M
$156.5M
제품 지원
$243.8M
$263.9M
기타 서비스
$64.3M
$75.8M
총 수익
$463.5M
$496.3M
매출원가
제품 라이센스
$3.1M
$1.9M
구독 서비스
$42.4M
$31.8M
총 제품 라이선스 및 구독 서비스
$45.5M
$33.7M
제품 지원
$33.3M
$22.4M
기타 서비스
$50.7M
$53.8M
총 수익 비용
$129.5M
$109.9M
매출 총 이익
$334.0M
$386.3M
운영 비용
비즈니스 운영비용
$397.1M
$385.5M
디지털 자산 손상 손실
$1.8B
$115.9M
총 운영 비용
$2.2B
$501.4M
운영 손실
$-1.9B
$-115.0M

- 회사의 수익 부문은 BI 관련 내용만 기재되어 있고, 아래 운영 비용 항목에 비트코인(디지털 자산 손상 손실) 관련 항목이 나와있다. BI 부문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제품 라이선스 수익은 감소, 구독 서비스 수익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비트코인 비중이 워낙 높은 회사이기 때문에 BI 부문은 미미하고 비트코인의 평가 이익/손실로 회사의 실적이 결정된다. 위 표에서 MSTR의 비트코인은 평가 손실이 발생했다고 하는데, 과연 비트코인 투자 현황은 어떨까?

* 비트코인 투자 현황

연도
매수량 (BTC)
총 매수 금액 ($Bil)
평균 매수 가격 ($/BTC)
디지털 자산
보유액 ($Bil)
현금 및
현금성 자산 ($Bil)
평가이익/손실 ($Bil)
2023
56,650
19.0
33,580
3.6
0.05
-2.3
2024
258,320
220.7
85,447
23.9
0.04
-4.1
2025
(1월~2월)
31,270
31.66
101,225
-
-
-
누적(2025.2.14 기준)
478,740
311.3
65,033
-
-
-

- 연간 보고서가 발표된 25/2/14 기준으로 MSTR은 총 478,740개의 비트코인의 보유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누적 평균 매수 가격은 65,033 달러이므로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어도 여전히 수익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왜 '평가이익/손실'은 마이너스, 즉 비트코인 투자 평가손실이 발생한 것일까? 이는 미국의 디지털자산 회계 처리 기준에 의거하여 비트코인 평가이익/손실을 공정가(시장가격)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2024년까지 미국에서는 디지털자산의 가치를 구매 가격으로 기록하고, 가격 하락은 재무제표 상 손상(손실)로 반영하지만 가격 상승은 자산을 매도하기 전까지는 이익으로 반영하지 않았다. 즉, MSTR이 비트코인을 매수한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면 재무제표 상 비트코인 평가 손실이 기재되고,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MSTR의 매수 가격을 상회하더라도 비트코인을 매도하기 전까지는 평가 손실(손상)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과 디지털 자산 회계처리 방식으로 인해 회계상 마이너스로 기록된다. 하지만 2025년부터 디지털자산 회계처리 방식이 공정가(시장가격) 반영으로 바뀌기 때문에, 향후 비트코인 가격에 따라 평가 이익/손실이 매 분기 반영되면서 MSTR 실적 변동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MSTR이라는 회사는 정말 비트코인 그 자체이다. 한국의 경우 아직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할 수 없기 때문에 증권 시장에서 비트코인 관련 투자 상품을 찾는다면 BITO 등 비트코인 선물 ETF 또는 MSTR 주식에 투자하여 비트코인 익스포저를 가져갈 수 있다. MSTR 투자는 좀 더 변동성 높아진 비트코인에 베팅하는 수단인 것 같다.